바쁜데 언제 이걸 입력하고 있어..라는 생각이 드신다구요?

“바빠 죽겠는데 언제 그걸 다 입력하고 있어..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은 실무자들의 몫입니다.
      당연히 환자를 보는 주 업무 외에 뭔가를 더 한다는 것은 
      일이 더 늘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일이 우리가 원하는 걸 위해 하는 거라면 얘기가 좀 달라집니다.

 

병원매출 성장을 원합니다.
실무진은 내 능력을 인정받아 좀 더 높은 연봉을 받길 원합니다.
둘 다 지금과 다른 결과를 원하는 것이죠.
다른 결과를 원한다면 행동이 달라져야 합니다.



          아인슈타인은 
          “다르기를 바라면서 항상 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은 미친짓이다”
          라는 말을 했습니다.

         우리가 늘 같은 행동을 반복하며 
        좀 더 나은 성과를 바라는 것은 
        미친 짓 입니다.


지금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고 분석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행동을 변화 시켜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분석 도구가 달라져야 합니다.


바빠 죽겠는데 언제 그걸 다 입력하고 있나? 
라고만 생각한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현재를 분석하고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행동을 변화 시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성과를 내는 것.
이것은 결국 내 능력에 대한 증명이기도 합니다.
실무자들은 매출을 올리기 위해, 상담 동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환자들의 만족을 이끌어내기 위해 정말 많은 노력을 합니다.

상담실에서 체어 사이드에서 1차 적인 상담들이 이루어지지만,
또 2차,3차 컨택을 통해서 추가 상담 동의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환자가 지금 당장은 여력이 되지 않아서 CC만 동의를 하지만
치료할 여건이 되었을 때 경험이 만족스러웠다면 
다시 우리 병원을 선택하여 후속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원하는 환자들이 우리 병원에 만족하고 있는지 감으로는 알 수 있지만 이걸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애매했습니다.
하지만 이걸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환자들이 우리 병원에 만족해서 다시 내원 한다는 것은
구환의 재내원인 “초진” 또는 “구신환”에 대한 데이터 이고,
구신환의 상담 동의율은 구환의 매출로 연결됩니다.

구환의 매출이 안정적으로 나온다는 것
우리 병원의 환자 경험 관리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목적 없이 일만 많아지는 것은 몽매니저도 반대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이걸 왜 하는지 “목적”을 찾는 것이 중요하고
“목적”을 찾아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라면 
최대한 효율적으로 하는 것에 신경 써야 합니다.

몽매니저는 그 일을 도와주는 도구라고
자신있게 얘기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오직 그것 하나 만을 목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공유합니다:

관련된 글:

30일간 무료 이용해 보세요.

하루 업무만 잘 마무리 해도 성과가 따라옵니다.
몽매니저를 통해 성과를 내고 인사이트를 발견하며 병원이 성장하는 모습을 한눈에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