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몽실장입니다.
전자차트에서 수납 데이터 가져올 때 하나의 수납에 두가지 종류의 수납이 섞여 있는 경우 “한 번에 분할처리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하나의 수납에 두 가지 이상의 수납내용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를 예로 들었을 때, 수납 105만원 중 [100만원은 교정비] [5만원은 교정 월비]인 경우 번거롭지 않게 해당 수납에서 진료과목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 기능 아이콘을 선택한다.
▷ [금액분할]을 선택한다.


금액 분할 설정 방법

▷ 분할납부는 비보험에서만 이루어 집니다.
▷ 분할 할 진료코드를 아래 리스트에서 선택합니다.

각 진료 코드별로 상담결정금에서 차감하는 케이스인지 미차감 케이스인지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정비용은 차감금액이지만 교정 월비는 매달 새로 발생하는 비용이므로 상담 결정금에서 미차감 되는 금액입니다.
서류발급과 구강용품 비용도 당일 발생되는 진료 외적인 비용으로 미차감 금액입니다.
몽매니저에서는 해당 기준으로 코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만약, 위 기준에서 조건을 변경하고 싶을 경우 코드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같은 납부수단 안에서만 분할해야 합니다.
▷ 카드 결제는 카드결제 안에서만, 현금 영수증 결제는 현금영수증 결제 안에서만 납부 수단의 조건을 맞춰 분할해주세요.

2. 원본 금액이 ‘0’이 되게 처리해주세요.
▷[금액분할]창 안에서 결제 금액에 대한 분할을 다 진행하면 됩니다.
원본 금액이 ‘0’이 되게 리스트에서 진료코드에 맞춰 분할납부 금액을 구분해 처리하세요.



▷금액을 분할하면 원본은 삭제되고 분할한 진료와 금액 기준으로 수납 리스트가 나옵니다.
여기서부터는 기존에 하던 방식대로 차감할 비보험 금액을 상담 결정금액에서 차감처리 하면 됩니다.
환자가 상담결정을 한 금액에서 수납한 금액을 차감해야 하는 이유는 환자들의 치료 진행 상황을 가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함 입니다.
상담 결정금 차감 시, 다 똑같은 비급여 치료비 라고 하더라도 과목별로 더욱 세분화 하여 기록한다면 매출분석이 더욱 정확해집니다.
한 달, 한 달이 쌓여 치료 상담 및 매출 분석 시 기간별 추이와 추세를 확인할 때 보고서에서 더욱 폭 넓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치과인의 필수 플랫폼 몽매니저.
몽실장 드림.